본문 바로가기

보통 엄마의 특별한 육아법

성공하는 자녀교육 실패와 상관없이 노력에 대해 칭찬해주어라

반응형

 

자녀 교육과 관련해서 많은 부모들이 하는 실수 중 하나는 아이에게 완벽함을 강요한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이는 매우 위험한 일입니다. 왜냐하면 사람은 모두 불완전성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무시하고 아이에게 무조건 완전해지라고 요구한다면 결국 자신감 부족이라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습니다.

 

평상시 아이와 대화할 때 ‘완벽’이란 단어  대신 ‘노력’이라는 단어를 떠올려보세요. 그리고 아무리 작은 성과라도 아이가 성취한 것이라면  인정해 주고 격려해 주세요. 그러면 아이는 스스로 성장하면서 자존감을 키워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아이들이 잘 하는 것과 잘 못하는 것 어떤 것에 비중을 두어야 할까요?

모든 사람은 장점과 단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반대로 모든 면에서 완벽한 사람은 있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잘 하는 부분뿐만 아니라 못하는 부분까지도 존중받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공부를 잘하지 못한다고 해서 그것만으로 비난받아서는 안 됩니다. 열심히 노력했음에도 성적이 좋지 않았다면 이를 충분히 이해시키고 다음부터는 좀 더 잘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연구하고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실패와 상관없이 아이가 그동안 무언가를 하기 위해 노력한 것에 대해 칭찬해 주세요.  비난받는 아이보다 격려받는 아이는 자존감이 충만한 아이로 자랄 수 있을 것입니다.

 

칭찬받을 만한 행동을 했을 때마다 칭찬하면 좋은가요?

부모라면 누구나 내 아이가 항상 칭찬받고 사랑받기를 바라지요. 그래서 조금이라도 잘못된 행동을 하면 야단치고 혼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만약 아이가 친구와의 약속을 지키지 않고 거짓말을 했다면 “너는 왜 이렇게 약속을 자주 어기니?”라며 화를 내기보다는 “다음부터는 그런 일이 없도록 해보자”라고 말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물론 이때 엄마 아빠가 얼마나 속상했는지 말해주면 더욱 효과적이겠지요.

 

어떤 상황에서도 일관성 있게 훈육해야 하나요??

자녀 교육에서 일관성이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이야기입니다. 또한 많은 부모들이 일관성 있는 교육을 하고자 노력을 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예외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가령 동생이랑 싸우다가 화가 나서 장난감을 던졌는데 하필이면 그때 할머니께서 오셔서 그 장면은 보았다고 생각해 보세요.. 이럴 때 과연 똑같이 벌을 줘야 할까요? 아니면 그냥 넘어가도 될까요?  대부분의 부모님은 후자를 선택하게 될 것입니다.

 

비록 의도치 않은 결과지만 이미 벌어진 일이기 때문에 굳이 문제 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다른 사람 앞에서 체벌을 가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특히 어린아이라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