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자존감 높여주는 효과적인 칭찬&꾸중 노하우
아이에게 하는 칭찬과 꾸중은 부모로서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특히나 아직 어린 우리 아이들이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더욱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많은 부모님들께서 자녀들을 위한다는 마음으로 잘못된 방법으로 훈육하거나 칭찬을 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칭찬하고 어떻게 꾸중을 해야 우리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줄 수 있을까요?
♥ 칭찬이란 무엇인가요?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이 있죠. 그만큼 칭찬은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답니다. 그렇다면 칭찬은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일까요?
칭찬은 상대방의 잘한 행동을 인정하고 격려하며 용기를 북돋아 주는 행위입니다. 즉,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타인을 변화시키는 힘을 가진거죠.
반대로 꾸중은 잘못한 행동을 지적하고 꾸짖어 잘못된 점을 깨닫게 하는 행위입니다. 결국 칭찬과 꾸중은 서로 반대되는 개념이지만 나 혹은 다른 사람을 위한다는 공통점이 있답니다.
♥ 칭찬과 꾸중 중 어떤 것이 더 중요한가요?
많은 부모님들께서 칭찬보다는 꾸중을 많이 하십니다. 아무래도 말을 듣지 않는 아이에게는 화를 내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생각 때문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혼나는 상황에서는 반성하기 보다는 반발심이 생기기 마련이고, 이러한 감정은 쉽게 사라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무조건 야단치기 보다는 잘한 행동에 대해 칭찬을 해주고 잘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 우리 아이에게는 어떤 칭찬을 해
야하나요?
먼저 칭찬하기 전에 알아야 할 사항이 몇 가지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구체적으로’ 칭찬해야한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 “오늘 옷 예쁘다”라고 말하는 것보다는 “오늘 입은 원피스 너무 예쁘네~”라고 말해줘야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훨씬 이해하기 쉽겠죠?
두 번째로는 ‘행동 자체’를 칭찬해야 합니다. 만약 시험 점수를 100점 맞았다고 해서 “100점 맞은 거 축하해”라고 한다면 그건 칭찬이 아닙니다. 그냥 결과만을 보고 판단했기 때문이죠.
세 번째로는 ‘결과+과정’을 동시에 칭찬해야 합니다. 열심히 노력해서 90점을 맞았다면 “90점 받은 거 축하해” 보다는 “열심히 노력했구나 대단해”라는 식으로 과정까지도 칭찬해 준다면 더욱 좋겠죠?
♥ 우리 아이에게는 어떤 꾸중을 해야하나요?
그럼 이제부터는 꾸중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꾸중 또한 칭찬과 마찬가지로 지켜야 할 원칙이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감정 조절’입니다. 감정조절 없이 무작정 혼내기만 한다면 아이와의 관계 개선은 물론이고 훈육 효과도 전혀 기대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화가 날 때는 잠시 멈추고 심호흡을 하거나 물을 마시는 등 마음을 진정시킨 후 다시 대화를 시도하세요.
두 번째로는 ‘혼내는 목적’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자녀들을 혼낼 때 단지 화풀이용으로 혼내거나 훈계하려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그런 태도는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는 ‘부모-자녀 간의 신뢰 형성’입니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상황을 파악했다고 하더라도 무조건 혼내고 윽박지른다고 해서 해결되지 않습니다. 진심 어린 사과와 반성 그리고 앞으로의 다짐을 보여주고 반복된다면 용서하겠다는 의사를 표현한다면 분명 이전과는 달라진 모습을 보일 겁니다.
아무리 사랑하는 내 자식이라도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는 따끔하게 혼낼 줄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나중에 커서도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자랄 수 있습니다. 그러니 지금부터라도 조금씩 실천해 보시기 바랍니다.
'보통 엄마의 특별한 육아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지켜야 할 육아원칙 (0) | 2023.03.07 |
---|---|
우리 아이 성공지능 높이기 (0) | 2023.03.07 |
갈등 상황별 부모 자녀간 대화법 (1) | 2023.03.07 |
영유아기 독서교육이 필요한 이유 (0) | 2023.03.05 |
가정에서의 책 읽기 독서 지도 (0) | 2023.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