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지켜야 할 육아원칙
부모라면 누구나 아이에게 좋은 부모가 되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어떻게 해야 좋은 부모가 될 수 있을까요? 많은 사람들이 자신만의 육아 철학과 방법을 가지고 있지만, 모두 같은 방식으로 아이를 키울 수는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이 중심’이라는 말이 많이 쓰이는데, 이는 모든 일을 아이 입장에서 생각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과연 아이만을 위한다고 해서 그것이 올바른 양육방식인지 의문이 듭니다.
◆ 존 가트맨 박사는 누구인가요?
존 가트맨 박사는 인간관계 연구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로서 미국 워싱턴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이며, 감정코칭연구소 소장이기도 합니다. 또한 부부 관계 개선 및 가족치료사로도 활동하며 수많은 저서를 집필했습니다. 특히 <내 아이를 위한 사랑의 기술> 시리즈는 국내에서도 큰 인기를 끌며 베스트셀러 반열에 올랐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존 가트맨 박사가 말하는 좋은 부모란 어떤 부모일까요?
◆ 존 가트맨 박사가 말하는 좋은 부모란 어떤 부모인가요?
첫 번째 “모든 문제 행동 속에는 긍정적인 의도가 있다”라는 것입니다. 즉, 아무리 나쁜 행동이라도 반드시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방을 어지럽히는 아이에게는 장난감을 정리해서 엄마 아빠를 도와주려는 마음이 숨어있습니다. 따라서 혼내기보다는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물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 “감정 코칭형 대화하기”입니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이와의 대화 중에 지시하거나 명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경우 아이는 수동적으로 반응하게 되며, 스스로 결정했다는 느낌을 받지 못합니다. 반면에 공감하면서 경청하면 아이는 능동적으로 대답하려고 노력하는데, 이것이 바로 자기 주도성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세 번째 “칭찬하되 비교하지 않기”입니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처럼 매우 효과적인 훈육방법이지만, 다른 아이와 비교한다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습니다. 결과보다는 과정을 칭찬해야 하며, 구체적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좋지 않은 부모 유형은 어떤 부모유형인가요?
첫 번째 “과잉보호형 부모”입니다. 과잉보호형 부모는 아이가 원하는 대로 다 해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태도는 아이의 자율성과 주도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의존심을 키워줍니다.
두 번째 “방임형 부모”입니다. 방임형 부모는 아이가 알아서 하도록 내버려 두는 편입니다. 물론 간섭하지 않는 것이 무조건 나쁘다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지나친 무관심은 아이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세 번째 “권위주의형 부모”입니다. 권위주의형 부모는 매사에 엄격하고 강압적이어서 아이들을 주눅 들게 만듭니다. 그리고 비난조로 말하기 때문에 아이 역시 자존감이 낮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네 번째 “완벽주의형 부모”입니다. 완벽주의형 부모는 지나치게 높은 기준을 요구함으로써 아이를 힘들게 합니다. 결국 실패했을 때 좌절감을 느끼게 되어 정서적으로 불안해집니다.
◆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지켜야 할 원칙이 있다면?
모든 부모에게는 각자 자신만의 양육방식이 존재하는데요. 이것이 정답이다 아니다고 판단하긴 어렵지만 적어도 몇 가지 공통점은 있다고 하네요.
첫째, 일관성있게 행동한다.
둘째, 칭찬보다는 격려를 아끼지 않는다.
셋째, 훈육시 체벌은 절대 금지
넷째, 비교하지 않는다.
다섯째, 부부간 의견조율 및 합의
여섯째, 실수했을 땐 사과하기
일곱째, 긍정적인 언어사용
여덟째, 애정표현
아홉째, 작은 변화에도 관심 갖기
열 번째, 매일 사랑한다고 말해주기
이 세상에는 다양한 형태의 부모가 존재하지만,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공통점은 한 가지입니다. 바로 아이를 존중하고 이해하려는 마음가짐입니다.
부모란 참 어려운 존재입니다. 아이에게 무한한 사랑을 주지만 때로는 잘못된 행동을 지적하며 올바른 길로 인도해야 하는 사람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대부분의 부모들이 이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습니다. 자신만의 육아 방식과 가치관 사이에서 혼란을 느끼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에요.
대부분의 육아 전문가들은 자녀교육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일관성 있는 양육태도라고 합니다. 오늘부터라도 우리 아이를 위해 일관적인 양육태도의 기준을 세워보는 것은 어떨까요?
'보통 엄마의 특별한 육아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하는 자녀교육 긍정적으로 말하고 행동하라 (0) | 2023.03.09 |
---|---|
성공하는 자녀교육 인성교육이 먼저다 (0) | 2023.03.09 |
우리 아이 성공지능 높이기 (0) | 2023.03.07 |
아이 자존감 높여주는 효과적인 칭찬 꾸중 노하우 (0) | 2023.03.07 |
갈등 상황별 부모 자녀간 대화법 (1) | 2023.03.07 |